노코드, 로우코드 시장 정말 AI에 먹혔을까?

2025년 11월 6일

2023년 ChatGPT 출시 이후 노코드·로우코드 시장 성장률이 급락했지만, 2025년부터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AI는 경쟁자가 아닌 성장 촉매제로 작용하며, 주요 기업들이 AI 기능을 통합하고 있다. 노코드·로우코드 플랫폼은 비개발자도 사용할 수 있는 시각적 개발 환경을 제공하며, AI와의 결합으로 혁신적인 기능이 개발되고 있다. 시장은 다양한 세그먼트로 나뉘며, AI/생성형 노코드 분야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3년 ChatGPT 출시 후 노코드·로우코드 시장 성장률이 30.4%에서 10.5%로 급락했다. 그러나 2025년부터 22.9% CAGR로 회복 중이다. AI는 경쟁이 아닌 상승제가 되고 있다. 어떤 일이 있었던 걸까?

🍎 바쁘다면 알짜배기만이라도!

  • 시장 성장률 급락: ChatGPT 출시 후 2023-2024년 사이 성장률이 30.4%에서 10.5%로 급락했다 (65% 하락).

  • 회복 신호: 2025년부터 22.9% CAGR로 재성장. 최종 시장규모는 2030년 1,870억 달러(약 243조 원) 전망.

  • AI 통합: MS Power Apps, Mendix, OutSystems 등 주요 플레이어들이 Copilot, Maia AI 등을 통합하며 새로운 개발 패러다임 구축 중.

  • 세그먼트별 격차: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는 AI/생성형 노코드(40%+), 앱 빌더(37.5%), API 자동화 도구(27.5%).

2023-2024년의 '노코드 겨울'은 정말 있었나?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노코드·로우코드 시장은 연 28-30% 성장률을 유지해왔다. 2023년 11월 ChatGPT 출시 이전까지만 해도 "개발의 민주화"라는 모토 아래 매년 3조~4조 원대의 한국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었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들은 '2024년 까지 기업 앱의 65%가 노코드·로우코드로 개발될 것'이라고 예측했다(Gartner, 2019).

그런데 2024년 들어 성장률이 갑자기 10.5%로 추락했다. 약 19.9%포인트의 급락이다. 시장 규모 기준으로는 여전히 성장했지만, 예상보다 훨씬 둔화된 것이다. 이것이 AI 코딩 보조 도구(GitHub Copilot, ChatGPT, Cursor AI 등)의 등장으로 일어난 일이다.

노코드/로우코드 시장 규모 추이 및 AI 영향 분석 (2021-2034)


"ChatGPT 같은 AI가 누구나 코드를 짜게 해주면, 왜 노코드 플랫폼이 필요한가?" (2023-2024년 당시 시장의 질문)


이 질문이 벤처캐피탈과 기업의 투자 결정을 일시적으로 얼린 것이다. 초기 플레이어들(Zapier, Webflow, Bubble)은 충분한 성장을 보였지만, 신규 노코드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심사는 극도로 까다로워졌다.

AI 코딩 도구는 진짜 대체재였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도구의 본질이 다르다

AI 코딩 보조 도구 (ChatGPT, Copilot, Cursor)

  • 개발자를 위한 보조 도구다

  • 코드 작성을 덜 반복적으로 하도록 도와준다

  • 여전히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이해해야 한다

  • 버그 검증, 보안, 통합은 여전히 개발자 몫


노코드·로우코드 플랫폼 (Mendix, OutSystems, MS Power Apps)

  • 비개발자도 사용 가능한 시각적 개발 환경

  • 드래그 앤 드롭으로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

  • 기업의 '급속한 디지털 전환 DX' 수요를 충족

  • 개발 리소스 부족 문제 해결


초기에는 AI 등장 후 노코드·로우코드가 금방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컸다. 그러나 2024년 중반부터 노코드·로우코드 핵심 플레이어들이 AI를 단순 경쟁자가 아닌 새로운 '도구'이자 '재료'로 활용하는 방법을 깨닫기 시작했다. 사용성과 생산성에 AI를 접목시키며 혁신적인 기능을 개발했고, 시장에서도 이를 눈치채고 점차 반응하기 시작한 것이다.

Mendix 로우코드 어플리케이션

Copilot이 탑재된 Power Apps

이 과정에서 Mendix(Simens)는 Gartner의 인정을 받은 제품으로 영향력을 이어갔고, Microsoft는 Power Apps에 Copilot을 통합해 실제 사용자가 AI와 협력해 앱을 더 쉽게 만들 수 있는 사례를 만들어냈다.

결국 AI는 기존 노코드 시장의 위협이 아니라, 오히려 이를 강화하는 오히려 성장 촉매제 역할을 담당하며, 2025년부터는 노코드·로우코드 시장의 재도약을 견인하고 있다.

AI 통합 이후 노코드·로우코드 플레이어들의 움직임

주요 플레이어들의 2024-2025년 전략을 살펴보자.

회사

AI 기능

현황

전략

Microsoft Power Apps

Copilot 통합 (GPT-4)

수백만 사용자 보유

엔터프라이즈 자동화 강화

Mendix (Siemens)

Maia AI 비서 출시

Gartner 리더 8년 연속

AI 기반 개발 생산성 25% 향상

OutSystems

AI Agent Builder

기업 디지털 전환 주도

LLM + 워크플로우 자동화

Zapier

AI 자동 워크플로우

중소기업 표준 도구

자연어로 자동화 설정

FlutterFlow

성능 개선 예정

모바일앱 시장 70% 점유

Google Firebase와 긴밀 협력

Webflow

AI 코드 생성

기업 웹사이트 빌더

디자인 → 코드 자동 변환

마이크로소프트와 Siemens라는 거대 기업이 노코드·로우코드에 자본을 집중하고 있다는 것 또한 흥미롭게 바라볼 포인트이다.

노코드·로우코드 시장의 진짜 구조: 6가지 카테고리로 본 기회

노코드/로우코드 시장 세그먼트별 분석

1. 웹사이트 빌더 (Webflow, Wix, Squarespace)

  • 시장점유율: 18% (2024년)

  • 성장률: 15-20% (가장 낮음)

  • 특징: 디자이너와 개인사용자 중심, 시장 포화 진행 중

  • 2025년 기대효과: AI 디자인 기능(Figma Make 등)으로 진입 장벽 한층 낮아질 예정

2. API/자동화 도구 (Zapier, Make, Integromat)

  • 시장점유율: 16% (2024년)

  • 성장률: 25-30%

  • 특징: 중소기업의 업무 자동화 표준. Zapier는 600만 사용자, 50억 달러 가치 평가

  • 문제점: 비즈니스 로직이 아닌 '워크플로우 연결'에만 집중. 복잡한 앱 개발에는 부족

  • 2025년 전망: AI와의 결합으로 자연어 기반 자동화(Zapier AI) 가능

3. 앱 빌더 (FlutterFlow, Bubble, Adalo, Glide)

  • 시장점유율: 22% (2024년)

  • 성장률: 35-40% (가장 빠른 성장)

  • 특징: 모바일 앱 중심. FlutterFlow가 2년 만에 70% 이상 점유율 달성

  • 2024-2025년 현황: Bubble, Adalo 등 경쟁사와의 기능 격차 확대 중

4. 로우코드 (OutSystems, Mendix, MS Power Apps)

  • 시장점유율: 28% (최대)

  • 성장률: 20-25%

  • 특징: 엔터프라이즈 규모. 기업의 복잡한 업무 자동화에 사용

  • 매출 규모: MS Power Apps는 연 20억 달러(약 2.6조 원) 매출

  • 투자: OutSystems는 최근 경영진 재편으로 AI 중심 리더십 강화

  • 한계: 높은 비용(월 수십만 원대~), 복잡한 학습곡선

5. 데이터/BI 도구 (Airtable, Databox)

  • 시장점유율: 12% (2024년)

  • 성장률: 30-35%

  • 특징: 데이터 접근성을 비기술 사용자에게 개방

  • 사례: 소규모 커뮤니티 관리, 스타트업 CRM으로 인기

  • 한계: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에는 부족

6. AI/생성형 노코드 (Dataiku, Obviously AI)

  • 시장점유율: 4% (2024년)

  • 성장률: 40%+ (최고 성장)

  • 특징: ML/AI 모델 개발을 비전문가도 가능하게 함

  • 기대효과: 기업들이 ChatGPT, Claude와 같은 LLM을 직접 학습/배포 가능

  • 2025-2026년 전망: AI 에이전트 개발 플랫폼으로 진화. 이 분야가 2026년 10% 이상 시장점유율 기록 가능성

대표적인 노코드 서비스 Zapier와 Webflow의 성적을 살펴보자

펀딩 규모

  • Zapier: 1억 4,000만 달러 (약 1,820억 원) 누적 펀딩

  • Webflow: 2억 달러 (약 2,600억 원) 누적 펀딩 + 최근 1억 2,000만 달러 추가 펀딩

기업 가치(밸류에이션)

  • Zapier: 50억 달러 (약 6.5조 원)

  • Webflow: 40억 달러 (약 5.2조 원)

실제 매출

  • Zapier: 연 1억 4,000만 달러 (약 1,820억 원)

  • Webflow: 연 1억 달러 예상 (약 1,300억 원)

  • Microsoft Power Apps: 연 20억 달러 (약 2.6조 원) - 다만 MS 내부 사업으로 단독 공시 안 함

기업 수익성: 두 회사 모두 2020년대 중반부터 수익성 전환. Zapier는 2014년부터 벌이고 있는 회사.

투자와 M&A는 어떻게 되고 있을까?

시장의 불확실성이 투자 시장이 얼게 했지만, 거대 기업들은 오히려 더 많이 투자했다.

  • IBM: MyInvenio 인수 (2024년) - 로우코드 플랫폼 강화

  • Microsoft + SAP 파트너십 확장 (2024년) - Power Platform + SAP 비즈니스 앱 통합

  • Siemens의 Mendix 보유: 지속 투자로 Gartner 리더 지위 유지


스타트업급 노코드는 투자가 줄었지만(Seed~Series A), 기업용 로우코드은 M&A 수익성이 증명되면서 거대 기업의 포트폴리오로 재편성 중이다.

AI 시대의 노코드·로우코드 미래: '바이브 코딩' 패러다임

안드레 카파시 Andrej Karpathy (Tesla, OpenAI 출신) 가 제시한 Vibe Coding 개념이 시장에 엄청난 파급을 가져왔다. "Vibe Coding"은 다음을 의미한다.

AI에게 자연어로 지시 → AI가 코드 생성 → 사용자가 수정/검증 → 배포

*AI가 등장하고 나서 다들 이렇게 해왔지만, 카파시가 이 과정을 단어로 정의했다고 보는 것이 맞다.


2023~2024년의 노코드 침체는 ‘붕괴’가 아니라 ‘재편’이었다. ChatGPT의 등장은 노코드·로우코드 시장의 정체성을 흔들었지만, 그 혼란이 끝나자 AI가 시장을 대체한 것이 아니라 내재화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AI 코딩 보조도구가 ‘개발자의 손을 빠르게 만드는 도구’였다면, 노코드·로우코드는 ‘개발이라는 행위 자체를 재정의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이제 개발의 본질은 코드 작성이 아니라 비즈니스 로직 설계와 자동화 연결로 이동했고, AI는 그 과정을 언어적 인터페이스로 변환하는 가속기가 되었다.

RPA, 시스템 자동화
시작하기 막막하신가요?

우리 기업에 딱 맞는 자동화를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어려우신 상황이라면 인바이즈를 찾아주세요.

다른 인사이트도 찾아보세요.

더 다양한 인사이트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성장하는 기업들의 자동화

성장하는 기업들의 자동화

인바이즈가 고객의 자동화 여정에 함께 하겠습니다.

성장하는 기업들의 자동화

성장하는 기업들의 자동화

인바이즈가 고객의 자동화 여정에 함께 하겠습니다.

성장하는 기업들의 자동화

성장하는 기업들의 자동화

인바이즈가 고객의 자동화 여정에 함께 하겠습니다.

끝없는 반복 업무를 끝내는 Human-Like Automation

© 2025 Invaiz Inc. All rights reserved

(주)인바이즈

대표자 : 이준석

주소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550번길 37, S14-411

문의 : rpa@invaiz.com

상담 가능 시간 : 10:00 am ~ 5:00 pm

대표번호 : 070-7781-0071

끝없는 반복 업무를 끝내는 Human-Like Automation

© 2025 Invaiz Inc. All rights reserved

(주)인바이즈

대표자 : 이준석

주소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550번길 37, S14-411

문의 : rpa@invaiz.com

상담 가능 시간 : 10:00 am ~ 5:00 pm

대표번호 : 070-7781-0071

끝없는 반복 업무를 끝내는 Human-Like Automation

© 2025 Invaiz Inc. All rights reserved

(주)인바이즈

대표자 : 이준석

주소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550번길 37, S14-411

문의 : rpa@invaiz.com

상담 가능 시간 : 10:00 am ~ 5:00 pm

대표번호 : 070-7781-0071